썸네일 로지텍 G102 개인적인 사용후기와 장단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우스를 하나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마우스는 바로 로지텍의 G102입니다. 이제 사용한 지 일주일이 지나가는데요. 로지텍 G102는 전설적인 마우스(?) 로지텍 G1의 후속작입니다. G1이라면 PC방 좀 다녀보셨분들이라면 모두 한 번쯤 한 사용해보셨을 바로 그 제품입니다. 이제는 단종되었으며 이제는 후속작인 G102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G1의 명성을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평이 많아서 저 역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과연 G102는 어떤 제품일지 간단한 후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역시 로지텍 전체적인 디자인은 아주 깔끔하면서 무난하게 디자인된 모습입니다. 일부 게이밍 마우스는 '게이밍'이라는 이름의 압박감(?)때문인지 지나친 디자인으로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지만 G102..
썸네일 HACKER K510 카일광축 이용후기 카일 광축 K501(리니어 타입) 요즘 들어 키보드에 관심이 많이 가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하루 종일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으니 보다 편하고 작업능률에 효율적인 키보드를 찾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키보드를 사용 하고 계신가요? 제가 사용해보고 있는 키보드는 광축 키보드인데요. 기계식 키보드 종류 중 광축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키를 누를 때마다 적외선의 차단과 흐름을 감지하여 입력되는 방식으로 게이머분들께서 많이 사용하시는 키보드 종류 중에 하나입니다. 기존의 멤브레인에서 청축, 적축, 그리고 이번에는 광축을 사용해보고 있는데요. 어떤 차이가 있는지 후기를 간단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콤팩트한 디자인 K510의 외형은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고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말 키캡까지 바싹 잘라 만..
썸네일 레이저 데스에더크로마 게이밍 마우스 후기 여러분들은 어떤 마우스를 이용하시나요? 컴퓨터 부품 중 마우스만큼은 주위에 어떤 것이 좋다 안 좋다 보다 자신의 손에 맞는 마우스를 고르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리고 그립방법의 따라 마우스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그립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팜 그립: 마우스를 손바닥부터 손가락까지 전체를 감싸 쥐며 그립 하는방식 핑거 그립: 손바닥은 마우스를 닿지 않으며 손가락으로만 잡아서 움직이는 방식 클로 그립: 손목 쪽의 손바닥으로 지지하며 손가락 끝으로 마우스를 잡는 방식 외부 디자인 첫 번째로 볼륨감이 눈에 들어옵니다. 일부 마우스 중에서 흔한 말로 통짜 디자인이 있는데 레이저 마우스는 유선형의 볼륨감을 줘서 손 모양에 맞게끔 디자인이 되어있습니다. 마우스의 크기는 세로 기준 12cm이기 때문에 작은 사이..
썸네일 기계식 키보드 G614 청축 사용기 feat. 타건소리 가성비로 소문난 키보드 G614 필립스에서 기계식 키보드를 만든다는 것을 유튜브에서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유튜브에서 나쁘지 않다~ 가격 대비 아주 훌륭하다는 평이 많아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필립스에서 만들었다니 궁금하기도 하고 평이 좋아서 한번 구입해보았습니다. 이제 사용해 본 지 3일째 되었느데요. 키보드는 3-5일 정도 사용하면 오래 사용할 놈(?)인지 나랑은 안 맞는다 던 지..... 3일째 사용해보고 간단하게 후기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개봉 후기는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baplay.tistory.com/29 g614 필립스 키보드 개봉후기 가성비 기계식 키보드 G614 필립스에서 키보드도 만드는 것을 아셨나요? 전기면도기의 대명사인 필립스에서 키보드를 기계식 키보드를 만들었는..
썸네일 S340-14API R5 일주일 솔직한 사용기 일주일이나 되었네요. 일주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역시가성비최강"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주일간 사용해본 S340-14API R5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아직 코로나 19 사태가 진정되지않아서 개강이나 개학이 미뤄진 시점이지만 새로 학기를 시작하는 학생들이 많이 노트북을 구입하려 하실텐데요. 그렇다면 분명 지금 이제품을 많이 염두해 두고 계실겁니다. 바로 레노버 S340인데요. S340에서도 라이젠 3500U가 탑재된제품이 가성비 좋기로 수문이 많이 났기 때문이죠. 곧 라이젠 4000번대가 출시될거라는 소문이 있고 일정이 하나하나 발표되고있지만 코로나19사태가 발생하여 차질 없이 생산이 가능할지 의문인 상황에서 아직까지는 분명 3500U는 가성비 측면으로서는 아주 매력적인 선택일 것입니다..